개인적으로 보험상품을 전반적으로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는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그러나 보험중에서도 필요한 보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보험은 크게 보장성보험과 저축성보험, 그리고 이 둘을 섞어놓은 보험이 있습니다. 이름은 복잡해 보이지만 내용은 단순합니다.
보장성보험은 말 그대로 뭔가 사고가 나거나 하면 돈을 주는 보험입니다. 자동차보험, 의료보험등이 있습니다. 사회초년생은 당장 돈을 모아야하는 입장이라 만에하나 사고를 당할경우 큰돈이 들어가고 돈이 없으니 빚을 질수밖에 없는 상황에 빠질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같은 보장성보험은 어느정도 필요한게 사실입니다.
반면 저축성보험이란 결국 투자대상으로써의 보험을 의미합니다. 연금보험이나 변액유니버셜.. 뭐 이런 10년후에 얼마 준다하는게 저축성보험입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보장성보험과 저축성보험을 합쳐놓은 상품들은 만기시 원금을 돌려준다거나, 뭐 암걸리면 돈을 주고 안걸려도 언제 얼마를 돌려준다.. 이런식으로 만기때 돈을 줄려주는 상품들을 의미합니다.
가입자 입장에서 말하는 저축성보험의 문제점은 바로 사업비입니다. 보험은 보통 만기가 깁니다. 적어도 7년~10년이상이죠. 적금이라고 치면, 내가 월 10만원씩 7년을 모으면 10*12*7해서 840만원에 이자를 좀 받을수 있습니다. 중간에 2~3년쯤 해지를 하더라도 이자에서 좀 손해를 보지 원금에서 크게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 은행에서 적금자금을 안정적으로 운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보험의 경우 사업비명목으로 돈을 30%정도 이상 떼고 적립을 한다고 보시면됩니다. 즉 월 10만원씩 적립되는게 아니라 월 7만원씩 적립되는것과 비슷하고, 이후에 은행보다는 공격적으로 운용을 해서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그런 이후에 7년이상 가입을 하게되면 나라에서 이자등에 대해서 세금을 감면해 주기 때문에 마지막에 전체 수익률이 올라오는 구조입니다. 만약 2~3년쯤 해지를 하게되면 원금에서 큰폭의 손해를 감수해야합니다. 이는 원금운용에서 손실이 발생하는것 이외에 원금 자체가 7년정도 되지 않으면 애초에 마이너스 구간에 머물러있는게 되죠.
어차피 7년있으면 비슷하게 올라오는것 아니냐라고 볼수도 있는데, 만약 그럴거면 그냥 펀드를 하는게 훨씬 낫습니다. 펀드도 매년 운용보수 명목으로 1%정도의 금액을 떼긴 하지만, 원금에서 몇십%씩 차감을 하고 시작하는 보험에 비해서는 양호하다고 볼수있습니다. 또한 매일매일 기준가가 나오는 펀드에 비해서, 앞서말한 보험은 보통 평가액이 쉽게 찾아볼수가 없어서 가늠을 하기가 어려운편입니다.
결국 원금보장을 원하면 예적금을 하면되고, 수익률을 기대하고 운용을 하려면 펀드로 하는게 훨씬 유리합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투자 해야만하는 연금의 경우에도 연금펀드의 일반적인 수익률이 연금저축이나 연금보험에 비해서 월등하니 투자의 목적으로 보험상품에 가입하지는 않는것을 추천합니다.
저도 금융기관에서 일을 하지만 보험상품을 추천하는 이유중의 하나는 바로 수당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앞서말한 30%가 넘는 사업비의 큰 부분이 바로 판매직원 수당이됩니다. 그러니 직원입장에서는 열심히 팔면 본인의 수익이 높아지는 요인이 있습니다. 재태크를 잘 모르는 초년생분의 포트폴리오를 보면 말도안되게 투자금액의 절반이상을 연금류의 상품에 넣어져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타깝습니다.
보장성보험과 저축성보험이 합쳐져 있는경우에도 사실 두가지를 나눌수가 있습니다. 그러한 상품으로 매달 30만원을 넣는다면, 사실 보장성보험 명목으로 월 5만원을 내고 나머지 25만원을 저축성보험으로 모으는것과 같습니다. 그러니 이러한 상품도 가입하실 필요가 없고, 보장성보험부분이 마음에 든다면 설계사분에게 저축성부분을 제외하면 월 얼마가 되느냐고 물어보셔서 조정을 받을수 있을겁니다.
결국 보장성보험이 남는데, 본인의 수입에서 지출을 제외한 순수투자금액의 10%정도 이상을 넘지 않는 한도내에서 한다면 된다는점만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사회초년생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 재태크, 보험의 적정규모 (0) | 2015.09.21 |
---|---|
사회초년생 재태크, 지출관리 (0) | 2015.09.18 |
복리의 마술은 돈에만 적용되는것이 아니다 (0) | 2015.09.16 |
사회초년생 재태크, 재무상태분석 방법 (0) | 2015.09.15 |
사회초년생 재태크, 통장나누기 (0) | 2015.09.14 |
사회초년생, 왜 재태크를 해야할까 (0) | 2015.09.08 |